일제강점기 울산 사설강습소와 사립학교
2019.08.13 11:16
울산 사립학교는 1903년부터 근대교육을 위해 건립됐지만 1910년 경술국치 이후 국권을 뺏기면서
조선총독부 교육정책과 탄압에 의해 대부분 운영권이 공립으로 바뀌게 된다.
또 운영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폐교하거나 야학, 강습소로 전환되고 했다.
사설강습소는 야학과 달리 주간에 문을 연 교육공간이다.
야학보다 운영하기 어려웠는데 그 이유는 교육생이 대부분 낮에 일을 해야 하는 가난한 형편이라
학생을 모집하기 힘들었던 때문이다. 강습소는 1913년에 총독부가 공포한 '사설학술강습회에 관한 건'에 의해 규제를 받았다.
자료 참고 : 한민수, 『청람사학』 「일제강점기 울산지역의 민중교육」. 2007
댓글 0
번호 | 제목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
공지 | 근대이행기 울산 병영의 사회변동과 지역정체성 | 2019.03.14 | 199 |
공지 | 병영의 삼일운동 전개 | 2019.03.02 | 33 |
20 |
울산야학 관련 일제강점기 신문기사 모음
![]() | 2019.08.13 | 84 |
19 |
야학에 힘쓴 독립운동가 - 강철과 신학업
![]() | 2019.08.13 | 57 |
18 |
일제강점기 울산 야학탄압 사례
![]() | 2019.08.13 | 907 |
17 |
야학 수업과목과 교재
![]() | 2019.08.13 | 558 |
16 |
일제강점기 울산야학과 민중교육
![]() | 2019.08.13 | 291 |
» |
일제강점기 울산 사설강습소와 사립학교
![]() | 2019.08.13 | 29 |
14 |
일제강점기 울산 일반야학과 여성야학
![]() | 2019.08.13 | 36 |
13 |
일제강점기 울산 노동야학 일람표
![]() | 2019.08.13 | 531 |
12 |
이무종 - 일제강점기 신문기사와 법원판결문
![]() | 2019.05.15 | 10573 |
11 |
안태로의 교육활동 언론기사
![]() | 2019.05.15 | 32 |
10 |
독립운동가 부부 이효정과 박두복
![]() | 2019.05.15 | 68 |
9 |
조형진 판결문 (1929년 11월 16일 치안유지법위반 등 대구복심복원)
![]() | 2019.05.15 | 661 |
8 |
일제강점기 성세빈의 민족운동
![]() | 2019.05.15 | 28 |
7 |
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 병영시위
![]() | 2019.03.14 | 23 |
6 |
병영 만세시위에 대해 1919년 경상남도 장관이 총독에게 보고한 내용
![]() | 2019.03.14 | 29 |
5 |
삼일 충혼비-삼일사 앞
![]() | 2019.03.02 | 33 |
4 |
옛 일신학교(병영초등학교 전신)에 관한 신문기사
![]() | 2019.02.22 | 18 |
3 |
일제강점기 교육상황 발췌자료 - 제4장 식민지 노예교육
![]() | 2019.02.21 | 61 |